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아진쌤입니다:)
오늘은
병설유치원교사를 준비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까 해요.
이미 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한 경우
정교사 자격을 취득한 경우가 많겠지만
전공자도 교직이수를 못 한 경우에는
자격을 취득할 수 없었을 텐데요.
또한
비전공자나 고등학교 졸업 학력인 분도
있을 텐데 그렇다면 이런 분들은
어떻게 준비할 수 있는 것인지
알려드리려고 해요.
준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기 전에
어떤 직업인지 먼저 알아볼게요.
병설유치원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공립 형태의 유치원으로
초등학교 내에서 운영이 되며,
초등학교 교장이 유치원 원장을
겸업하여 운영하게 되는데요.
때문에 임용고시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교사 자격증이 필요하죠.
정교사 자격을 취득한 뒤 국가고시를
통해서 교육공무원으로 근무하는 거죠.
이때 일반 공무원과 같은 월급과
호봉과 직책에 따른 수당, 교직수당,
특별 교육수당, 원로교사 수당 등
다양한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죠.
그리고 귀책사유가 특별하게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면 62세까지
근무를 하실 수 있고요.
이제 본격적으로 병설유치원교사를
준비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만약 전공자라면
교직 이수가 가능 대학에서
취득을 할 수 있겠지만
아마 아닌 분들도 많을 거예요.
비전공자가 교직이수를 위해서
선택 가능한 방법은
편입 혹은 교육대학원 진학을
통해서 가능하신데요.
신입학의 경우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보통 편입학과 교대원 진학을 택해요.
하지만 편입학의 경우
준비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해요.
보통 공인영어 혹은 편입영어
난이도 있는 영어와 전공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이죠.
때문에 추천드리는 방법은
교육대학원을 진학하는 것인데요.
교대원을 진학하여
병설유치원교사 준비 시
정교사 2급과 함께 석사학위를 취득해요.
그리고 전공면접이나 지필 고사 등을
준비해야 되지만 생각보다 난이도가
높은 편은 아니에요.
유아교육대학원 양성과정
여기서 병설유치원교사 준비를 위해서
일반대학원이 아닌
교육대학원 진학을 해야 하는 이유는
일반 재교육 과정은 석사학위만 나오지만
교육대학원 양성과정의 경우
교직 이수가 가능해 정교사 2급과 함께
석사학위를 취득하기 때문이에요.
그럼 교대원 진학 조건을 알아야겠죠.
4년제 대학에서 전공 학위를
취득해야 하고 대학원마다 요구하는
일정 전공학점을 이수해야 해요.
4년제 학사학위뿐만 아니라
교대원에서 인정하는 교과목으로
전공학점을 이수해야 하는데
보통 26~36학점 정도를 이수해야
지원이 가능한데요.
이 부분은 학위 취득 시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해드리니 걱정하실 필요 없어요.
또한 단기간에 학위 취득 후
지원을 하실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고등학교 졸업자나 비전공자분들도
걱정하실 필요 없죠.
4년제 대학 졸업
이전에 이미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면
전공 48학점만 이수해도 복수 전공 학위를
취득해 지원을 하실 수 있는데요.
때문에 2학기 8개월 기간으로
학사학위 취득 후 지원 가능해요.
고등학교 졸업, 대학 중퇴, 전문대학 졸업
이 경우 총 140학점을 이수하면 되는데요.
이미 보유하신 학점이 있다면
가져와서 시작하실 수 있고
다양한 학점 취득 방법이 있어
이 경우 1~4학기 과정으로 아동 학사학위를
취득하실 수 있어요.
학습자마다 수강 설계가 다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단기간에
아동학사를 취득해 유아교육대학원 진학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바로 학. 점. 은. 행. 제를 이용하는 것인데요.
어떤 제도인가요?
이 제도는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평생교육법 학위 제도에요.
학위 취득 시 교육부 장관 명의로
일반대 학과 동등한 학위를 취득하며
학점 취득 방식으로 학위를 발급해
정해진 학점만 충족하면 학위를 발급해
단기간에 학위를 취득하실 수 있죠.
그리고 이 제도를 가장 쉽게 이해하면
대학과정을 인터넷으로 옮겨온 것이라고
생각을 해주시면 되는데요.
강의는 한 학기 15주 과정으로
매주 강의가 열리면 2주 이내로 만
수강하면 출석을 인정하고요.
시험, 과제 또한 따로 강의실 출석 없이
컴퓨터만 있다면 집, 사무실 어디서든
가능해 직장을 다니는 분들도
이 제도를 통해 학위를 취득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요.
또한 강의뿐만 아니라 이미 이 전 대학에서
이수한 전적 대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고,
독학사, 학점인정자격 등을 통해서도
학점을 인정 가능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학점을 취득할 수 있는데요.
때문에 단기간 학위를 취득하기를
희망할 때 이 제도를 많이 활용해요.
그리고 이 제도를 이용 시 혼자 하시면
생소한 부분을 어렵게 느끼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요.
과정을 함께 진행시 놓치는 부분 없도록
챙겨드리며 함께 해드리니
너무 걱정하실 필요 없어요.
해당 제도는 이용 시 입학 절차가 없는 대신
학습자 등록, 과목 이수 후 학점인정 신청,
학위 조건 충족 시 학위 신청까지
정해진 기간에 진행해야 과정이 늦어지지 않게
무사히 이수 가능해요.
때문에 이런 부분 놓치지 않도록
안내드리며 함께 해드리고요.
그리고 교육대학원 진학 시
전공 면접 혹은 지필 고사 등을 준비해야 하는데
이런 부분 시간 확보할 수 있도록
인터넷 강의 수월하게 이수할 수 있도록
참고문헌 제공해드리려 수월하게
이수를 할 수 있도록 도움드리고 있고요.
병설유치원교사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에 대해 알려드렸는데
더 궁금한 점이 있거나
과정 진행을 하고 싶다면
언제든 상담 요청해 주세요.
학습자님의 상황과 목적에 맞는
수강 설계 후 과정 진행 함께 해드릴게요:)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영유아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은 어떻게 할까 (0) | 2020.06.12 |
---|---|
엠마왓슨 명언 알아보기 (0) | 2020.06.12 |
안창호 명언 모음 (0) | 2020.06.08 |
미도리 샤워 레시피 간단하게 즐겨봐요 (0) | 2020.06.03 |
영어영문학과 진로 학사학위를 빠르게 취득하는 방법은 (0) | 2020.06.02 |